공급가액 공급대가 뜻과 차이점(공급가액 계산기)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회계공부를 하는 분들, 또는 사업을 하는 분들 중 진짜 많이 들어보셨을 단어 공급가액과 공급대가가 있습니다.
얼핏보면 비슷해보이지만 사실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자칫 햇갈려 할 수 있는데요.
뜻을 알고나면 정말 간단하게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으니 오늘 내용 참고하시고 까먹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공급가액 뜻
먼저 공급가액은 공급자가 공급한 재화나 용역에 대한 가격으로 부가가치세(VAT)의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즉, 부가세가 포함되지 않은 공급된 상품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상품의 가격이 10만원이라면 이 상품의 공급가액은 10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공급대가 뜻
공급대가는 공급가액+부가가치세가 더해진 가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상품의 공급가액이 10만원이고 부가세가 10%라면 이상품의 공급대가는 11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공급가액 공급대가 차이점
이미 둘의 차이점을 명확히 말씀드렸는데요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쉽게 풀이해서 이렇게 외워보세요.
공급가액은 ‘공급된 상품가격의 액수’ 라고 외워두면 쉽게 외울 수 있어요.
공급대가는 ‘소비자에게 상품을 공급하고 대가를 받는다.”라고 외워두면 쉽게 외울 수 있습니다.
일종의 키워드 암기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공급가액 계산기
총 금액이 단순히 1,000원일 경우 암기로도 충분히 공급가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공급가액 900원, 부가세 100원)
그런데 금액이 높아질수록, 복잡해질수록 암기로 하기엔 어려움이 발생하는데요.
이럴 땐 공급가액 계산기를 통해 입력 한 번으로 쉽게 공급가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로그인없이 무료로 사용가능한 링크를 아래에 첨부해드릴게요.
이용방법도 간단합니다.
위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날겁니다.
위 사진처럼 총 금액이 단순 암기로 공급가액을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입력 한 번을 통해 쉽게 공급가액을 계산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계산기에 수식이 밸류값으로 지정되어있기 때문에 금액이 크더라도 공급가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금관련 상담을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무료세무상담 마을세무사 제도를 활용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