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수익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유튜브 또는 티스토리, 워드프레스를 운영하시는 분들은 애드센스 수익 목적으로 운영을 하실겁니다. 애드센스 수익의 경우 일정부분 소득이 발생하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주어야 하는데요. 오늘 그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애드센스 수익 세금 신고는 얼마부터?

매년 5월이 되면 종합소득세를 납부해야 하는데요. 애드센스 수익을 목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부업으로 시작을 하실겁니다. 내 직장에서 발생하는 근로소득의 경우 회사에서 알아서 처리해주기 때문에 별도로 세금문제로 고민할 필요는 없겠지만 애드센스와 같은 부업 또는 전업을 하시는 분들은 직접 세금 신고를 진행해야 하는데요. 여기서 많이들 햇갈려 하시더라고요.

① 애드센스 수익은 사업소득일까, 기타소득일까?

검색을 해봐도, 세무사에게 물어봐도 아직 세법으로 명확하게 기준이 정립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관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기타소득의 경우 ‘일시우발 적인 소득’에 해당되는 부분이고, 사업소득은 매월 꾸준히 소득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매월 구급을 계속적으로 지급받는 다면 사업소득이 타당하고, 2개월 혹은 3개월에 걸쳐 구급을 받게되면 기타소득으로 기준을 잡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큰 틀에서 본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정확하지는 않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② 애드센스 수익은 얼마부터 세금신고를 해아할까?

구글 애드센스 수익의 구급(지급) 기준은 100달러(한화로 현재기준 약 13만원 정도)입니다. 100달러 이상이 되면 내 전용 계좌로 송금을 받을 수 있게되는데요. 세금신고의 경우 원칙적으로 단 1원의 수익이라도 발생하게 된다면 신고를 해야하는게 맞습니다. 단, 국세청도 사람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유두리가 있게 일을 하는 것일 뿐이죠.

이때 통상적으로 300만원으로 기준을 잡는데요. 애드센스 수익이 연 300만원 이하라면 분리과세에 해당되기 때문에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아니라고 치부하는 분들도 종종 있습니다. 수익이 연 300만원 이하여도 종합소득세에 포함하여 세금신고를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아래는 과세표준 구간에 따른 종합소득세 세율표입니다.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애드센스 수익이 연 300만원 이하라면 분리과세를 적용할 경우 원천징수로 22%의 세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하지만 본인의 기존 소득(근로소득 등)과 합산한 종합소득의 합이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세율이 16.5%(주민세 포함)이기 때문에 분리과세의 22%의 세율보다 낮아서 이때는 종합소득세에 포함하여 신고를 하게되면 조금 더 세제혜택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애드센스 수익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애드센스 수익 종합소득세 신고 시 기타소득으로 하느냐, 사업소득으로 하느냐에 따라 과세되는 세금의 차이가 어마어마하게 나게됩니다. 상위 0.1%의 애드센스 전업자들의 경우 매년 수익이 억단위를 호가하는데요. 단순 계산으로만 따지면 수익 중 4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해야 한다는 말이됩니다. 하지만 저정도의 수익이 나게되면 사업자등록을 통해 비용처리를 통해 많은 절세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비용처리를 하게 될 경우에는 전문적인 세무사의 도움이 필요하겠죠. 하지만 애드센스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나 저와같이 세금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은 세무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정신적으로도 금전적으로도 매우 유용하게 작용됩니다. 저는 작년부터 종합소득세 신고 시 SSEM 세무대행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요. SSEM에서는 애드센스 수익 뿐만 아니라 유튜브 수익, 부가세 신고 등도 처리해주고 있으니 이용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① SSEM으로 애드센스 수익 신고하기

먼저 SSEM으로 신고하는 방법은 모바일과 PC버전이 있는데요. 저는 PC버전이 좀 더 편리해서 PC버전으로 이용하였습니다. 먼저 pc로 이용할 경우 SSEM 실행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SSEM 홈택스 연결방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홈택스 연결을 위해 본인인증을 진행해야 하는데요. 저는 카카오가 연동하기 편리해서 카카오로 간편 인증후 진행했습니다.

SSEM 종합소득세 무료계산

인증을 하고 나면 종합소득세 무료로 계산하기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클릭을 합니다.

SSEM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이후 본인 인적사항 등을 체크하고 부양가족이 있다면 부양가족도 추가해주세요.

SSEM 세무대행

부양가족 입력 후 본인의 애드센스 수익을 추가하면 되는데요. 아래 수입 추가하기 버튼을 클릭 후 애드센스 수익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위 계약직 수입이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쿠팡이츠, 쿠팡파트너스, 뉴스픽, 네이버 애드포스트 등이 포함된 수익이며, 이는 3.3% 원천징수를 하고 수익금이 지급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국세청에 세금신고가 되어있는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SEM 부가세신고

애드센스 수익을 입력 후 다음 절차를 진행하게되면 예상 환급액의 결과값이 도출되는데요. 눈으로 확인 후 아래 계산결과 보기를 클릭합니다.

SSEM 종합소득세 환급액

SSEM의 애드센스 수익 종합소득세 계산방식은 단순경비율로 적용되었으며 19,780원의 환급액을 받을 수 있게되었습니다. 제가 직접 홈택스에서 기타소득, 사업소득으로 세금신고를 진행해봤는데 사업소득으로 적용했을 경우 10만원의 추가납부액이 발생하였으며, 기타소득으로 적용했을 경우에는 90만원 넘는 세금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말도 안되는 금액이라 생각해서 SSEM을 이용해봤는데요. 오히려 환급액이 나와 적잖이 당황하였어요..

SSEM의 종합소득세 계산식은 무료이지만 세무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여 납부를 진행할 경우에는 33,000원의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세무기장료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정도면 싸게 먹히는 거라고 생각되기에 저는 매년 종합소득세 납부 시 SSEM을 꾸준하게 이용할 계획입니다.

금융관련 지식 높이기

건강보험료 합법적으로 줄이는 방법

보이스피싱 피해구제(피해금 환급) 신청방법

카카오뱅크 신용대출 정리(한도, 소요기간 등)

경차 전용 주유할인카드(유류세 환급 카드) 추천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