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수당 계산방법(법정공휴일, 지급기준)

휴일수당 계산방법(법정공휴일, 지급기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날(총선)인 법정공휴일로 지정된 날입니다.

빨간 날이기 때문에 공무원을 비롯한 공기업, 대기업 및 중견∙중소기업에 근무하시는 분들도 쉬는 날로 지정된 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부 특수직근로자나, 여행 및 서비스, 음식업 종사자 등의 근무하시는 분들은 예외사항이 적용되어 근무시간을 단축하거나 평소와 같은 근무시간을 지내실텐데요.

만약 법정공휴일과 같은 휴일에 근무하게 되면 휴일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는 것일까요?

법정공휴일 휴일수당의 지급기준과 계산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법정공휴일 기준

대통령령으로 지정한 공휴일입니다.

만약 법정공휴일 및 유급휴일에 근무를 했다면 휴일근무수당에 포함되기 때문에 특수업종을 제외한 일반적인 근로자들은 휴일근무수당을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법정공휴일 및 유급휴일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법정공휴일

명칭날짜
신정1월 1일(월)
설날2월 9일 ~ 11일(금 ~ 일)
설날 대체공휴일2월 12일(월)
삼일절3월 1일(금)
22대 국회의원 선거4월 10일(수)
어린이날5월 5일(일)
어린이날 대체공휴일5월 6일(월)
부처님오신날5월 15일(수)
현충일6월 6일(목)
광복절8월 15일(목)
추석9월 16일 ~ 18일(월 ~ 수)
개천절10월 3일(목)
한글날10월 9일(수)
크리스마스(성탄절)12월 25일(수)

위 법정공휴일에 근무를 하게된다면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해야만 합니다.

휴일근무수당 지급기준

법정공휴일(대체공휴일 포함)의 의무 적용 대상이 되면 휴일근무수당을 지급해야만 하는데요 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

따라서 회사에 취직을 할 때 웬만하면 사원수(근로자) 5인 이상의 기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근로자에게는 여러모로 이점으로 작용됩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이라면 아래 항목들은 강제 및 의무적용이 불가합니다.

  • 연장수당, 야간수당, 휴일근무수당
  • 근로시간 제한
  • 휴업수당
  • 부당해고 구제신청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근로자에게 노동법이나 근로기준법 등 매우 불리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웬만하면 5인 이상 사업장에 취업을 선택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휴일근무수당 계산방법

근로시간휴일수당
8시간 미만1.5배
8시간 이상2배

만약 시급이 10,000원일 경우 8시간 미만이라면 시급은 15,000원이 되고, 8시간 이상이라면 시급은 2만원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시급 및 주휴수당 계산하는 자세한 방법은 아래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간단하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 인기 글 더 보기

▶︎ 넷플릭스 요금제 할인 저렴하게 이용하는 방법

▶︎ 현대카드 고객센터 상담원 연결방법

▶︎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및 조회방법

Leave a Comment